Multiple React Native Apps with One Codebase
- Published on
함수 하나를 재사용 한다면 작업하는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여러 함수를 라이브러리로 만들어 재사용 한다면 작업하는 시간을 더욱 아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체 코드베이스를 재사용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기능에 관련한 코드는 유지하고 패키지만 바꾼다면요?
개발 시간은 단축할 수 있고, 새로운 패키지를 통해 다른 브랜드 경험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손쉽게 차별화된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입니다.
모바일 앱에서는 하나의 코드베이스를 통해 차별화된 여러 앱을 만드는 이러한 전략이 더욱 유효할 수 있습니다. 앱의 아이콘과 런치 스크린(스플래쉬 스크린)이 다르다면 우리는 보통 다른 제품이라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거기에 각 플랫폼들은 기본적으로 Multiple Apps 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flavor라는 멋진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iOS의 경우 Target을 통해 Multiple Apps 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iOS
성공적으로 iOS에서 한가지 코드베이스에서 여러 앱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몇가지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Targets
Targets은 가장 작은 단위의 제품입니다. 타겟 하나는 하나의 제품을 위한 소스코드와 리소스의 집합이며, 이들을 어떻게 빌드할지 설정을 포함합니다.
즉 코드 하나를 여러 타겟이 공유할 수 있습니다. 아이패드, 아이폰 버전, 다른 브랜드 앱과 같은 약간의 차이점만을 가진 비슷한 제품들을 target으로 지정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
타겟은 곧 같은 코드 베이스를 사용하는 다른 제품으로 이해해 주세요.
Scheme
Scheme은 하나의 타겟에 어떤 액션을 어떤 설정으로 실행시켜야 하는지를 기록한 설명서입니다. Scheme은 Action과 Build Configuration을 포함합니다. Action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Run
- Build
- Test / 빌드 후 테스트를 실행합니다.
- Profile / 특정 기기에서 퍼포먼스 체크용도로 사용됩니다.
- Analyze / static analyzer를 사용해서 빌드를 진행하고 코드의 버그를 검사해 줍니다
- Archive / 앱 스토어나 테스트 플라이트, 혹은 adhoc에 보내기 위해 코드 사이닝을 포함해서 빌드를 진행합니다.
Build Configuration은 환경변수들이 모여 있는 텍스트인 xcconfig 파일들을 어떤 빌드에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즉 어떤 환경변수를 어떤 빌드에 사용할지 다룹니다.
Scheme을 정리하자면 소스 코드를 가지고 테스트, 실행, 빌드 등 여러 액션을 실행할 때 어떠한 설정으로 진행할 것인지를 다룬 설명서입니다. A타겟을 A scheme으로 실행할 수 있고, B타겟의 빌드를 A scheme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React Native 프로젝트를 처음 세팅하고 xcode로 프로젝트를 켜 보면 Debug와 Release라는 두가지 Build Configuration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ebug Build Configuration 를 눌러 보면, 각 타겟별로 어떠한 configuration file(xcconfig 파일)을 사용할 지 설정해 줄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았다면 Cocoapods 전용 xcconfig 파일들이 보일 것입니다. 특별히 건들일이 없다면 이대로 두고 넘어갑시다.
Target Duplication
기존에 존재하는 타겟을 누르고 복사합니다. 해당 타겟 이름 뒤에 copy가 붙은 채로 새로운 타겟이 생성되게 됩니다. 보기 싫으니 이름을 new Target으로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말이죠. 옆에 보면 복사한 타겟의 info.plist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친구의 이름도 바꿔주도록 합시다. plist는 Build configuration에 쓰이는 xcconfig 파일처럼 번들에 필요한 정보들을 담은 파일입니다.
Packaging
새 제품을 만들었으니 이름을 바꿔줄 차례입니다.
Build Settings에서 아까 바꾼 plist의 이름과 Product Bundle Identifier, Product Name을 바꿔 주도록 합시다. Product Bundle Identifier 는 제품의 유니크한 id입니다. Product Name은 실제로 핸드폰에 표시될 앱의 이름입니다. 모두 적었다면 plist가 해당 이름을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수로 입력해 줍시다.
Make Scheme
모든 타겟은 하나 이상의 Scheme을 포함해야 합니다. 해당 타겟을 빌드하고 실행할때 사용할 Scheme을 생성하도록 합시다.
New Scheme을 누르면 해당 scheme이 어떤 타겟을 위해 쓰일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새 타겟을 위한 scheme이므로 newTarget을 선택해 줍시다.
타겟을 만들었고, 해당 타겟을 위한 scheme을 만들었습니다. 훌륭합니다. 참고로 이미 타겟을 복사할때 scheme이 생성되는데, 이 scheme의 이름을 manage scheme에서 변경해 주어도 상관 없습니다.
그러면 이제 edit scheme을 눌러서 방금 만든 scheme을 확인해 보도록 합시다.
각 액션들마다 Build configuration, 그리고 executable에 새로운 타겟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까 Build configuration 에서 새로운 설정을 만들지 않았다면 따로 건들 것은 없습니다.
Podfile
마지막으로 podfile을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새로운 타겟을 아래와 같이 선언 해 줍시다. flipper는 빌드 시간을 증가시킨다는 문제가 있어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post install 스크립트 또한 글로벌 스페이스로 빼 줍시다.
7번과 8번줄의 코드는 Build configuration을 추가하지 않았다면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require_relative '../node_modules/react-native/scripts/react_native_pods'
require_relative '../node_modules/@react-native-community/cli-platform-ios/native_modules'
platform :ios, '11.0'
project 'multipleTarget',
'Dev.Debug' => :debug,
'Dev.Release' => :release,
target 'multipleTarget' do
config = use_native_modules!
use_react_native!(
:path => config[:reactNativePath],
# to enable hermes on iOS, change `false` to `true` and then install pods
:hermes_enabled => false
)
end
target 'newTarget' do
config = use_native_modules!
use_react_native!(
:path => config[:reactNativePath],
# to enable hermes on iOS, change `false` to `true` and then install pods
:hermes_enabled => false
)
end
post_install do |installer|
react_native_post_install(installer)
__apply_Xcode_12_5_M1_post_install_workaround(installer)
end
타겟 분리는 이게 끝입니다. 무척 간단하죠. 실행을 해 보고 싶다면 해당 명령어로 실행을 해 볼 수 있습니다.
react-native run-ios --scheme "newTarget"
이제 아까 설정한 product bundle Identifier를 app store connect에 등록하고 새로운 앱을 만들고 fastlane 혹은 ipa 파일을 업로드한다면 상용 배포 준비도 끝이 납니다.
Change AppIcon, LaunchScreen
마지막으로 Multiple App의 핵심인 앱의 아이콘과 스플래시 스크린을 바꿀 차례입니다.
new Group으로 새 폴더를 만들어 줍시다.
그리고 new file을 눌러서 Asset Catalog를 추가해 주도록 합시다.
편의를 위해 newTargetImages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습니다. 해당 에셋이 newTarget에만 사용되도록 체크해줍시다.
이제 Asset Catalog 안에 앱 아이콘들을 추가해 줍시다. 앱 아이콘을 추가하는 법은 이곳에서 확인해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앱 아이콘이 추가되었다면 이제 스플래시 스크린(런치 스크린)을 추가할 차례입니다. 스플래시 스크린은 Asset Catalog 에서 추가가 가능했으나 이제 deprecated 되었고 따로 추가하여야 합니다.
스플래시 스크린을 추가하는 방법은 이곳을 확인해 주세요. 성공적으로 앱 아이콘과 스플래시 스크린을 추가하였다면, 해당 타겟의 General 세팅에서 알맞는 아이콘과 스플래시 스크린을 선택해 주면 끝입니다.
Deployment
타겟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으니 fastlane을 사용해서 분리한 타겟을 app store connect에 명령어 한줄만으로 배포해 봅시다. 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desc "Deploy newTarget"
lane :newTarget do
match(type: 'appstore', readonly: true)
gym(scheme: 'newTarget', clean: true) // 여기에 아까 만들었던 scheme의 이름을 넣어줍시다. 그러면 gym이 알아서 빌드합니다.
pilot()
end
Android
iOS가 target으로 패키징을 바꾸는 기능을 지원한다면 안드로이드는 flavor 라는 기능을 사용해서 앱의 패키지를 바꿀 수 있습니다. 다행인 것은 iOS보다 조금 덜 귀찮습니다. vscode의 수정만으로 가능합니다.
Gradle Flavor
안드로이드에서는 빌드를 위해 gradle이라는 빌드 툴을 사용합니다. 코드 수정은 IDE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도맡아 하고 테스트와 컴파일, 빌드와 같은 일들은 gradle이 책임집니다.
gradle은 예전 빌드 시스템인 maven이나 ant보다 직관적이고 멋진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우리가 브랜디드 앱을 위해 사용할 gradle의 기능은 빌드 변형 구성, flavor 입니다.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동일한 코드를 다른 ‘맛'으로 빌드할 수 있게 해줍니다. flavor는 패키징의 교체 뿐만 아니라 개발 환경 분리, 유료 / 무료 앱 빌드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flavor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build.gradle에서 product flavor를 선언해 주면 됩니다. 예시 코드를 통해 봅시다.
flavorDimensions "brand"
productFlavors {
brandedApp {
dimension 'brand'
applicationId 'co.brandedApp.debug'
minSdkVersion rootProject.ext.minSdkVersion
targetSdkVersion rootProject.ext.targetSdkVersion
versionCode project.hasProperty('versionCode') ? project.property('versionCode') as int : 1
versionName "1.0.0"
resValue "string", "appName", "brandedApp"
signingConfig signingConfigs.brandedApp
}
}
sourceSets {
brandedApp {
res.srcDir 'src/PUBL/devRes'
}
}
일단 gradle 빌드 설정에서 사용되는 몇가지 개념들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Signing config
안드로이드 기기에는 서명된 앱들만 설치 될 수 있습니다. gradle의 signing config는 서명시 설정을 다룹니다.
BuildTypes
말 그대로 타입별 앱 빌드 시 어떻게 빌드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을 담당합니다. 빌드 설정은 기본적으로 debug와 Release 두가지 설정을 제공합니다. xcode의 build configuration에 해당합니다.
FlavorDimensions
gradle의 flavor는 다차원으로 정의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어려워 보이는데, flavor들을 정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subscription dimention에 free, paid flavor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ProductFlavors
flavor를 설정합니다. 해당 앱의 아이디와 이름, 인증 방법, Sdk 버전 등을 커스텀해서 앱의 패키징을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공식 문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SourceSet
각 flavor가 어떤 에셋을 사용할 것인지 경로를 직접 지정해 줍니다. flavor들의 에셋은 이런 식으로 넣어줄 수 있습니다.
flavor와 사용할 에셋을 지정한다면 gradle이 빌드 시 해당 flavor의 에셋들을 main에 머지합니다. 다시 말해서 flavor의 세팅이 main의 세팅을 override 하게 됩니다.
Keystore
안드로이드 앱들은 구글 플레이 콘솔에 올리기 전에 키 스토어를 통해 코드 사이닝 과정을 마쳐야 합니다. 키 스토어는 인증키가 들어 있는 파일입니다. 하나의 코드 베이스로 여러 앱을 만들때 인증 과정에 있어서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한가지 키 스토어를 사용해서 모든 앱을 사인하는 방법과 각 앱마다 키 스토어를 만들어서 각각 사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키스토어는 키와 밸류 형태로 여러 키들을 관리하는 거대한 파일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가지 키스토어로 여러 앱들을 관리하고 싶을 경우, alias로 키들을 관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가지 키스토어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키 스토어를 생성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keytool -genkeypair -v -storetype PKCS12 -keystore my-upload-key.keystore -alias my-key-alias -keyalg RSA -keysize 2048 -validity 10000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my-upload-key.keystore 라는 이름의 키스토어가 생성되게 됩니다.
Fastlane & Service account
앱들을 빌드할때마다 손으로 구글 플레이 콘솔에 업로드 하는 것은 귀찮은 일입니다. 따라서 터미널에 단 한줄만으로 빌드와 구글 플레이 콘솔에 업로드 할 수 있도록 fastlane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fastlane은 구글 플레이 콘솔에 업로드 하기 위해 api를 사용할 서비스 계정을 요구합니다.
서비스 계정을 만드는 법은 위 그림, 혹은 이곳을 참조해 주세요. 서비스 계정 또한 한가지 계정이 모든 앱의 권한을 가질 수 있고, 각 앱마다 서비스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Implementation
signingConfigs {
debug {
storeFile file('debug.keystore')
storePassword 'android'
keyAlias 'androiddebugkey'
keyPassword 'android'
}
brandedApp {
if (project.hasProperty('MYAPP_UPLOAD_STORE_FILE')) {
storeFile file(MYAPP_UPLOAD_STORE_FILE)
storePassword MYAPP_UPLOAD_STORE_PASSWORD
keyAlias MYAPP_UPLOAD_KEY_ALIAS
keyPassword MYAPP_UPLOAD_KEY_PASSWORD
}
}
flavorDimensions "brand"
productFlavors {
brandedApp {
dimension 'brand'
applicationId 'co.brandedApp.debug'
minSdkVersion rootProject.ext.minSdkVersion
targetSdkVersion rootProject.ext.targetSdkVersion
versionCode project.hasProperty('versionCode') ?
project.property('versionCode') as int : 1
versionName "1.0.0"
resValue "string", "appName", "brandedApp"
signingConfig signingConfigs.brandedApp
}
}
sourceSets {
brandedApp {
res.srcDir 'src/PUBL/devRes'
}
}
다시 돌아와서 위에 적은 소스 코드를 보도록 합시다. signingConfigs에 flavor의 이름에 따라 새로 만든 키스토어와 비밀번호를 추가해 주었습니다. 이제 gradle은 해당 이름의 flavor를 빌드할 때 마다 해당 인증을 사용하게 됩니다. 또한 sourceSets 에 들어 있는 에셋들을 자동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앱의 아이콘이나 스플래쉬들을요.
이들을 바꾸는 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쉬운 방법은 이미 존재하는 main 폴더의 방식과 똑같이 만드는 것입니다. gradle은 변경사항을 머지하므로 바뀐 아이콘이 사용되게 됩니다.
해당 flavor를 사용해 실행하거나, 빌드하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uild flavor 'flavorName' only
./gradlew bundleFlavorName
혹은 Fastlane을 사용해서 빌드할 수도 있습니다.
gradle(task: "bundle", build_type: 'release', flavor: 'brandedApp', properties: {
"versionCode" => bitrise_version_code,
"android.injected.version.name" => newVersionName,
})
간단하죠? 이렇게 해서 Android에서 target, flavor를 이용해서 브랜디드 앱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앱의 패키징을 바꾸고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브랜디드 앱마다 특별한 경험을 줄 수 있다면, 빠르게 비즈니스에 특화된 앱들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부족한 부분이나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꼭 남겨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